"대문"의 두 판 사이의 차이

한의학 용어 wiki!
이동: 둘러보기, 검색
(양식 수정)
1번째 줄: 1번째 줄:
== 분담 ==
+
== 외과심법요결 분담 ==
 
* 김상현 : 권63
 
* 김상현 : 권63
 
* 구현희 : 권64
 
* 구현희 : 권64
9번째 줄: 9번째 줄:
  
 
<pre>
 
<pre>
 +
{{Term
 +
| 분류=[[병증]]
 +
| 상위어=
 +
| 관계어=
 +
| 분석어=
 +
| 표기=
 +
| 독음=★
 +
| 대역:PR=
 +
| 대역:KR=
 +
| 대역:AK=
 +
| 대역:EN=
 +
| 대역:ET=
 +
| 활성=TRUE
 +
| 제안자=[[★]]
 +
| 검토자=[[nobody]]
 +
| 기타작업자=[[nobody]]
 +
}}
 +
 
== 증론사전 ==
 
== 증론사전 ==
 
=== 의종금감 외과심법요결 ===
 
=== 의종금감 외과심법요결 ===
* 위치 : 卷68 編輯外科心法要訣 > 手部 >  代指 4.9
+
* 위치 :  
* 원문 : '''代指'''每生指甲身, 先腫焮熱痛應心, 輕潰微膿重脫甲. ==> 해당 병증용어에 볼드 처리
+
* 원문 :  
* 번역문 : 대지(代指)는 매번 손톱안쪽에 생기는데, 먼저 붓고 화끈거리면서 열이 나며 가슴까지 아프다. 증상이 가벼우면 터져서 고름이 약간 나오며, 증상이 심하면 손톱이 빠진다.
+
* 번역문 :  
* 링크 : https://mediclassics.kr/books/100/volume/8/#content_162
+
* 이명 : ★있는 경우에만 표의 관계어(Atttribute)'[[~유의]]:[[天蛇頭瘡]]'이라고 추가해주세요
* 삽화 : https://mediclassics.kr/books/100/volume/8/#content_167
+
* 링크 :  
 
+
* 삽화 :  
=== 동의보감 ===
 
* 위치 : 外形篇卷之四 > 手 >  代指 1.18
 
* 원문 : 代指者, 指頭先腫, 焮熱掣痛, 然後於爪甲邊結膿潰破, 甚者, 爪甲俱脫. 《入門<ref>入門 : 실제로는 의학강목에서 인용한 것이다</ref>》 ==> 주석이 있는 경우는 '주석 대상 : 내용'의 형식으로
 
* 번역문 : 대지(代指)는 손가락 끝이 먼저 붓고 화끈거리며, 당기면서 아프다가 손톱 주위가 곪았다가 터지는 것이다. 심하면 손톱이 모두 빠진다. 《입문》
 
* 이명 : 代指, 亦謂之天蛇頭瘡. 《綱目》 | 대지를 천사두창(天蛇頭瘡)이라고도 한다. 《강목》  ==> 표의 Atttribute에 '[[~유의]]:[[天蛇頭瘡]]'이라고 추가한다. 대지의 글자 표기를 다르게 한 경우가 있으면 +Notation (Regex) 항목에 '[代帶]指'처럼 추가해준다.
 
* 링크 : https://mediclassics.kr/books/8/volume/8/#content_93
 
  
 
<references /></pre>
 
<references /></pre>

2018년 3월 26일 (월) 00:25 판

외과심법요결 분담

  • 김상현 : 권63
  • 구현희 : 권64
  • 오준호 : 권65
  • 권오민 : 권66
  • 이정현 : 권67

양식

{{Term
| 분류=[[병증]]
| 상위어=
| 관계어=
| 분석어=
| 표기=
| 독음=★
| 대역:PR=
| 대역:KR=
| 대역:AK=
| 대역:EN=
| 대역:ET=
| 활성=TRUE
| 제안자=[[★]]
| 검토자=[[nobody]]
| 기타작업자=[[nobody]]
}}

== 증론사전 ==
=== 의종금감 외과심법요결 ===
* 위치 : 
* 원문 : 
* 번역문 : 
* 이명 : ★있는 경우에만 표의 관계어(Atttribute)에 '[[~유의]]:[[天蛇頭瘡]]'이라고 추가해주세요
* 링크 : 
* 삽화 : 

<references />